희망연속
젊다고 생각하면 뇌연령도 젊어진다 본문
실제 나이보다 젊다고 느끼는 노인은 상대적으로 뇌 연령이 젊었다. 인간이 느끼는 주관적 나이와 실제 뇌 나이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다.
최진영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‘주관적 나이와 뇌 나이의 연관성’ 논문을 국제 신경과학 저널 ‘프론티어즈 노화신경학’에 게재했다고 11일 밝혔다.
연구팀은 60~80대 노인 68명을 대상으로 ‘실제 나이보다 젊다’ 또는 ‘실제 나이보다 늙었다’고 느끼는지 물은 뒤 뇌 나이를 측정했다.
뇌 나이는 ‘기계학습’ 모형을 통해 추정했는데 노화에 따른 위축과 변형이 많은 뇌일수록 뇌 나이가 많게 계산되는 방식이다.
실제보다 젊다고 느끼는 노인 29명은 평균 나이가 70.93세였다. 뇌 나이는 73.24세로 2.31세 차이가 났다.
실제 나이와 비슷하다고 느낀 노인 19명은 평균 69.58세였다. 뇌 나이는 75.03세였다.
실제 나이보다 나이가 들었다고 느낀 노인 20명은 평균 73.75세였다. 뇌 나이는 77.15세로 3.4세 차이가 났다. 나이가 많이 들었다고 느낀 노인의 실제 뇌 나이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다.
최 교수는 “연구의 통계 분석은 단순히 산술적인 집단 차이가 아니라 회귀분석(인과성을 규명하는 분석)을 통해 얻은 것”이라면서 “실제보다 나이가 들었다고 느낀 노인들의 뇌 나이가 가장 높게 나온 것은 의미가 있다”고 설명했다.
연구팀은 “주관적 나이가 차이 나는 이유는 뇌 나이와 상관있다”고 분석했다. ‘나이가 들고 있다’는 주관적 경험이 실제로 발생하는 자신의 뇌 노화를 자각한 결과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.
최 교수는 “사람의 노화 과정에는 상당한 개인차가 있었다”면서 “사람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자신의 몸과 뇌의 노화 상태를 자각하고 있다”고 강조했다.
박민지 기자 pmj@kmib.co.kr
'건강 백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걷기는 질(質)보다는 양(量) (0) | 2021.06.04 |
---|---|
인간은 120세 이상 살 수 있다 (0) | 2021.06.01 |
앉지 말고 걸어라 (0) | 2021.05.23 |
관절염이 있어도 꾸준히 걸어라 (0) | 2021.05.23 |
인간의 기대수명 125세는 꿈이 아니다 (0) | 2021.05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