희망연속
운동으로 지방의 80%는 연소된다 본문
다이어트로 날씬한 몸매를 갖길 원하는 사람들은 무작정 먹는 양부터 줄이고자 한다. 먹는 행위 및 음식의 소화는 위장이 담당하고 있으며, 때문에 식욕을 억제하는 위밴드 수술 등을 받는 사람들도 있다.
하지만 최근 해외 연구팀은 음식물의 소화 보다는 숨을 쉬는데 반드시 필요한 기관인 폐가 살을 빼는데 큰 기여를 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아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.
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인체의 혈액에는 혈중 지방 성분으로서 동맥 경화의 원인이기도 한 트리글리세리드(Triglyceride)가 있는데, 이는 탄소와 수소, 산소 등의 원소로 이뤄져 있다.
탄소와 산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방법 중 하나는 다름 아닌 들숨과 날숨이다. 숨을 쉬면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이러한 과정이 혈액 속 트리글리세리드의 수치를 낮추고 불필요한 지방을 떼어내는데 도움을 준다.
연구에 따르면 체내 지방의 80%는 폐의 들숨과 날숨으로 연소된다.
예컨대 지방 10㎏이 연소될 때 이중 8.4㎏은 폐를 통해 이산화탄소 형태로 제거되며 남아있는 1.6㎏은 물 형태로 변화돼 소변이나 대변, 땀, 호흡, 눈물 등으로 빠져나간다.
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과정에서 내뿜어지는 이산화탄소와 체내 수분 배출이 지방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.
평균적으로 몸무게 70㎏의 성인은 1분간 약 12번의 호흡을 통해 200㎖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. 하루 동안의 호흡 회수는 1만 7280번,
이를 통해 이산화탄소 200g을 연소할 수 있다. 이는 8시간 수면하는 동안 제거되는 이산화탄소 양의 3분의 1 정도에 해당된다. 1시간 동안 달리기를 할 경우 몸에서는 추가적으로 40g의 이산화탄소를 더 제거할 수 있다.
연구를 이끈 루벤 메르맨과 앤드류 브라운 박사는 "누구나 알고 있는 생화학적 원리이지만 이들의 정확한 연관관계 및 효과를 수치로 계산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"이라면서 "이 연구를 통해 폐가 다이어트에 매우 중요한 '지방 배설 기관'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" 고 설명했다.
이어 "과도한 음식 섭취를 피하고 운동을 통해 호흡 횟수를 늘리면 이산화탄소 제거량이 많아져 살을 빼는데 도움이 된다"고 덧붙였다.
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의학저널(British Medical Journal) 최신호에 실렸다.
송혜민 기자huimin0217@seoul.co.kr
'건강 백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화를 늦춰주는 음식 (0) | 2014.12.23 |
---|---|
암환자는 땅콩 많이 먹으면 안좋아 (0) | 2014.12.21 |
치매를 예방하는 방법 (0) | 2014.12.17 |
겨울철 운동도 가급적 야외에서 (0) | 2014.12.17 |
우울감·좌절·분노 잦은 성격(D형 성격), 심근경색 불러온다 (0) | 2014.12.17 |